본문 바로가기
한국기업/대기업

CJ대한통운(주)(CJ Logistics Corporation)에 대한 모든것 [기업소개, 배경, 사업부문,점유율, 주가, 연봉,주식, 전망 등]

by ingazzang1 2025. 2. 27.

CJ대한통운(주)


소개

CJ대한통운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종합물류기업으로, 국내 및 글로벌 물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계약물류(CL), 택배, 글로벌, 건설 등의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1930년 조선미곡창고로 출발하여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하며 국내 물류 시장을 선도해 왔으며, AI 기반 스마트 물류 기술과 친환경 물류 시스템을 도입하여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설립 배경

CJ대한통운은 1930년 조선미곡창고로 설립되었으며, 1963년 대한통운으로 사명을 변경한 후 물류, 택배, 운송 사업을 확장하였습니다. 1990년대에는 대북 지원 물자 운송 및 산업 기자재 운송을 수행하며 국내 물류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였으며, 1993년 택배 사업에 진출하여 국내 대표 택배 서비스 기업으로 성장하였습니다.
2012년 CJ그룹 계열사로 편입되면서 CJ대한통운으로 사명을 변경하였으며, 2018년 CJ건설을 합병하여 물류센터 및 플랜트 건설 사업에도 진출하였습니다. 현재는 스마트 물류 및 친환경 물류 기술을 핵심 성장 동력으로 삼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CJ대한통운은 다음과 같은 핵심 사업 부문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1. 계약물류(CL) 사업

  • 국내외 고객을 대상으로 물류 컨설팅, 창고 운영, 운송 서비스 제공
  • AI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공급망 최적화 시스템 구축

2. 택배 사업

  • 전국 100% 직영 조직 및 약 2만 명의 배송 기사를 통한 전국 택배 서비스
  • AI 기반 자동 분류 시스템 및 로봇 물류 도입으로 효율성 극대화

3. 글로벌 사업

  • 미국, 중국, 동남아 등 40개국 이상 물류 네트워크 구축
  • 글로벌 E-Commerce, 항공 및 해상 물류 서비스 확대

4. 건설 사업

  • 물류센터, 플랜트, 주거시설 등 다양한 건설 프로젝트 수행
  • 스마트 물류 인프라 구축을 위한 자동화 물류센터 개발

시장 점유율 (국내 및 글로벌)

국내 시장 점유율

  • 국내 **택배 시장 점유율 약 50%**로 1위 업체
  • 계약물류(CL) 시장에서도 약 30%의 점유율을 보유

글로벌 시장 점유율

  • 글로벌 물류 및 공급망 관리 시장에서 약 3.8%의 점유율 확보
  • 동남아 시장에서 최대 물류 업체 중 하나로 성장

경쟁 업체 및 점유율

한진택배

택배

약 15%

 

롯데글로벌로지스

택배

약 10%

 

로젠택배

택배

약 7%

 

쿠팡로지스틱스

자체 배송 물류

약 8%


연봉 정보

  • 평균 연봉: 약 7,500만 원
  • 신입사원 연봉: 약 4,800만 원

직급별 연봉

  • 사원: 4,800만 원 ~ 5,800만 원
  • 대리: 6,000만 원 ~ 7,200만 원
  • 과장: 7,500만 원 ~ 8,900만 원
  • 차장: 9,000만 원 ~ 10,500만 원
  • 부장: 10,800만 원 ~ 12,300만 원

재무지표 (2024년 기준)

  • 연 매출: 약 11조 7,679억 원
  • 영업이익: 약 4,802억 원
  • 순이익: 약 613억 원

주요 사업별 매출

  • 글로벌 사업부문: 약 4조 3,000억 원 (전체 매출의 36.83%)
  • 택배 사업부문: 약 3조 6,500억 원 (31.02%)
  • 계약물류(CL) 사업부문: 약 2조 9,000억 원 (24.59%)
  • 건설 사업부문: 약 8,900억 원 (7.57%)

연구개발(R&D) 투자

  • 연간 R&D 투자액: 약 3,100억 원
  • 투자 비율: 매출액 대비 1.5%
  • 주요 투자 분야: AI 기반 물류 최적화, 친환경 물류 기술 개발

부채 및 자산

  • 총자산: 약 9조 3,576억 원
  • 총부채: 약 5조 3,145억 원
  • 부채비율: 약 56.8%

주가 분석 (최근 5년간 변동)

📌 2020년: 팬데믹 특수 및 물류 산업 호황

  • 주가 범위:100,000~160,000원
  • 이슈:
  • 코로나19 팬데믹(2020년 3월): 비대면 소비 증가로 택배·물류 수요 급증
  • 온라인 쇼핑 시장 급성장: e커머스 확대에 따른 물류 수요 증가
  • 정부 물류산업 지원책: 비대면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 지원
  • 추세:
  • 160,000원 돌파하며 사상 최고가 기록

📌 2021년: 고점 유지 및 성장 지속

  • 주가 범위:140,000~180,000원
  • 이슈:
  • 택배 물량 증가 지속: 온라인 시장 확장에 따른 추가 성장
  • 물류센터 투자 확대: 자동화 시스템 도입 및 인프라 확장
  • 노동환경 이슈: 택배업계 노동환경 문제 부각 → 비용 증가 우려
  • 추세:
  • 180,000원 근처에서 박스권 유지

📌 2022년: 금리 인상과 비용 증가로 하락

  • 주가 범위:110,000~150,000원
  • 이슈:
  • 금리 인상 본격화: 글로벌 긴축정책으로 투자심리 위축
  • 유가 상승: 물류업체의 연료비 부담 증가
  • 택배업계 경쟁 심화: 쿠팡·마켓컬리 등 자체 물류망 강화로 시장 경쟁 심화
  • 추세:
  • 150,000원에서 110,000원까지 조정

📌 2023년: 경기 둔화 및 실적 악화

  • 주가 범위:90,000~130,000원
  • 이슈:
  • 경기 둔화: 소비 둔화로 택배 물량 증가세 둔화
  • 비용 증가: 인건비·연료비 상승 지속
  • 택배단가 인상: 비용 부담 전가 시도 → 고객사 반발로 인상 효과 제한적
  • 추세:
  • 상반기 반등 후 하반기 100,000원 하회

📌 2024년: 반등 시도 후 추가 하락

  • 주가 범위:76,800~139,300원
  • 이슈:
  • 단기 반등(2024년 초): 물류시장 안정화 기대감
  • 주가 급락: 실적 회복 지연 및 비용 부담 지속
  • M&A 및 해외 물류 투자 확대: 글로벌 사업 강화 노력
  • 추세:
  • 139,300원 터치 후 하락세 지속

📌 2025년(현재): 저점 확인 및 반등 시도

  • 주가: 95,800원
  • 이슈:
  • 경기 회복 기대: 소비 회복에 따른 물류 수요 증가 가능성
  • 주가수익률(PER) 8.68배: 저평가 국면
  • 배당수익률 0.84% 유지: 낮은 배당 매력
  • 추세:
  • 95,000원 지지 여부 확인 후 반등 가능성

📊 총평: CJ대한통운 주가 5년간 흐름 및 주요 이슈

  • 2020년: 팬데믹 특수로 물류 시장 급성장
  • 2021년: 고점 유지 및 성장 지속
  • 2022년: 금리 인상과 비용 증가로 조정
  • 2023년: 경기 둔화 및 실적 악화로 하락
  • 2024년: 단기 반등 후 추가 하락
  • 2025년: 95,000원대 지지 여부 확인 중

주요 주주 현황 (2025년 2월 27일 기준)

주주명보유 주식 수지분율 (%)최종 변동일

 

CJ제일제당㈜

9,168,622

40.19

2024/07/01

 

국민연금공단

2,513,221

11.02

2025/01/23

 

네이버㈜

1,791,044

7.85

2020/10/27

 

자사주

2,867,215

12.57

2023/12/28


주가 정보 (2025년 2월 27일 기준)

  • 현재 주가: 96,500원
  • 52주 최고가: 124,300원
  • 52주 최저가: 85,000원
  • 시가총액: 약 2조 2,013억 원
  • 주가수익비율(PER): 9.85배
  • 자기자본이익률(ROE): 6.27%
  • 배당수익률: 0.51%

전망

단기 전망 (2025년)

  • 친환경 물류 사업 확대: 탄소 배출 저감 및 전기 배송 차량 도입
  • AI 기반 물류 자동화 시스템 강화: 효율성 개선 및 비용 절감 기대

중장기 전망 (2026년 이후)

  • 해외 시장 확장: 동남아 및 미주 지역의 물류 네트워크 확대
  • 스마트 물류 인프라 구축: AI 및 IoT 기반 물류 최적화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