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기업/대기업

한국수력원자력주식회사(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Ltd.)에 대한 모든것 [기업소개, 배경, 사업부문,점유율, 주가, 연봉,주식, 전망 등]

by ingazzang1 2025. 3. 1.

한국수력원자력주식회사


소개

한국수력원자력주식회사(이하 한수원)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발전회사로, 원자력, 수력, 양수발전 등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2001년 4월 한국전력공사로부터 분리·설립되어 현재까지 안정적인 전력 공급과 친환경 에너지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확대하여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한국수력원자력


 

설립 배경

한수원은 2001년 4월 2일, 전력산업 구조 개편의 일환으로 한국전력공사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습니다. 이후 영광 5, 6호기 준공을 통해 설비 용량을 확대하였으며, 2011년에는 시장형 공기업으로 전환하여 자율성과 책임 경영을 강화하였습니다. 최근에는 신재생에너지 사업과 해외 원전 수출 등으로 사업 영역을 다각화하고 있습니다.​잡코리아


 

주요 사업

한수원은 다음과 같은 주요 사업 부문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1. 원자력 발전

  • 국내 원자력 발전소 운영: 신한울, 고리, 한빛, 월성 등 다수의 원자력 발전소를 운영하여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 해외 원전 수출 및 기술 협력: 루마니아 등과 원전 기술 협력을 맺어 해외 시장에서도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잡코리아

2. 수력 및 양수 발전

  • 수력 발전소 운영: 청평, 팔당 등 수력 발전소를 통해 친환경 에너지를 생산하고 있습니다.​잡코리아
  • 양수 발전소 운영: 무주, 삼랑진 등 양수 발전소를 통해 전력 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3. 신재생에너지 사업

  • 태양광 발전: 새만금 300MW 수상 태양광 설치 등 대규모 태양광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잡코리아
  • 풍력 발전: 국내외 풍력 발전 프로젝트를 통해 재생에너지 비중을 확대하고 있습니다.​잡코리아
  • 연료전지 발전: 경기 화성, 서울 마포, 부산 해운대 등지에서 약 110MW 규모의 연료전지 발전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잡코리아

시장 점유율 (국내 및 글로벌)

국내 시장 점유율

  • 전력 생산 비중: 한수원은 원자력, 수력, 양수발전,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국내 전력의 약 30%를 생산하며, 국내 최대의 발전회사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한국수력원자력

글로벌 시장 점유율

  • 원전 수출 및 기술 협력: 루마니아 등과의 기술 협력을 통해 해외 시장에서도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으며, 원전 수출 10기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연봉 정보

  • 평균 연봉: 약 9,000만 원​
  • 신입사원 연봉: 약 5,000만 원​

직급별 연봉

  • 사원: 5,000만 원 ~ 6,000만 원​
  • 대리: 6,500만 원 ~ 7,500만 원​
  • 과장: 8,000만 원 ~ 9,500만 원​
  • 차장: 1억 원 ~ 1억 1,500만 원​
  • 부장: 1억 2,000만 원 ~ 1억 3,500만 원

재무지표 (2023년 기준)

  • 매출액: 약 10조 6,077억 원​잡코리아
  • 영업이익: 약 6,451억 원​
  • 순이익: 약 9,670억 원​

주요 사업별 매출

  • 원자력 발전 부문: 약 8조 원 (전체 매출의 75.4%)​
  • 수력 및 양수 발전 부문: 약 1조 5,000억 원 (14.1%)​
  • 신재생에너지 및 기타 부문: 약 1조 1,077억 원 (10.5%)​

연구개발(R&D) 투자

  • 연간 R&D 투자액: 약 1,500억 원​
  • R&D 투자 비율: 매출액 대비 약 1.4%​

부채 및 자산

  • 총자산: 약 8조 6,324억 원​
  • 총부채: 약 4조 9,235억 원​
  • 부채비율: 약 56.6%​

전망

한수원은 원자력과 수력, 양수발전, 신재생에너지로 국내 전력의 약 30%를 생산하는 국내 최대의 발전회사로서, 이산화탄소 배출 없는 청정에너지로 국민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있습니다. 또한, 원전 수출 10기 달성을 목표로 친환경 에너지 분야에서 신성장 동력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 웨스팅하우스와의 지식 재산권 분쟁이 마무리되며, 체코 원전 수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한수원의 해외 시장 진출과 글로벌 원전 산업에서의 입지 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