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기업/대기업

GS건설(GS Engineering & Construction Corp.)에 대한 모든것 [기업소개, 배경, 사업부문,점유율, 주가, 연봉,주식, 전망 등]

by ingazzang1 2025. 2. 24.

GS건설


소개

GS건설(주)는 GS 그룹의 계열사로, 국내외 건설 및 인프라 사업에서 혁신적인 건설 기술과 지속 가능한 개발 전략을 바탕으로 성장해온 대표적인 건설 기업입니다. 첨단 기술과 친환경 건설 솔루션을 도입하여 미래 도시와 인프라 구축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설립 배경

GS건설(주)는 1969년에 설립되어 오랜 기간 동안 국내 건설 산업의 발전에 기여해왔습니다. 초기에는 주거 및 상업 건축에 집중하였으나, 이후 토목, 플랜트, 해외 건설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며 성장하였습니다.


주요 사업

  • 건축:
    주거, 상업, 공공 건축물 건설 및 리모델링 프로젝트 수행
  • 토목:
    교량, 도로, 철도, 공항 등 인프라 사업 전반에 걸친 토목 공사
  • 플랜트 및 해외건설:
    에너지 및 산업 플랜트 구축과 해외 대형 건설 프로젝트 수주
  • 환경 및 에너지 사업:
    친환경 건설 기술 도입, 신재생 에너지 기반 인프라 개발 및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추진

시장 점유율 (국내 및 글로벌)

  • 국내 시장 점유율:
    GS건설(주)는 국내 건설 시장에서 약 **10~15%**의 점유율을 보유하며, 주요 공공 및 민간 프로젝트를 통해 강력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 글로벌 시장 점유율:
    해외 인프라 및 건설 프로젝트 수주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도 입지를 확대하고 있으며, 주요 국제 프로젝트를 수행 중입니다.

경쟁 업체 및 점유율

  • 현대건설:
    국내 주요 건설사 중 하나로 약 **15~20%**의 시장 점유율을 보유하며 GS건설과 유사한 분야에서 경쟁하고 있습니다.
  • 삼성물산:
    대형 프로젝트 수행 능력을 바탕으로 국내외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대우건설:
    중견 건설사로 다양한 건설 분야에서 GS건설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연봉 정보

  • 평균 연봉:8,000만 원
  • 신입사원 연봉:4,500만 원
  • 직급별 연봉:
  • 사원: 4,500만 원 ~ 5,500만 원
  • 대리: 6,000만 원 ~ 7,000만 원
  • 과장: 7,000만 원 ~ 8,500만 원
  • 차장: 8,500만 원 ~ 10,000만 원
  • 부장: 10,500만 원 ~ 12,000만 원
  • 임원 평균 연봉: 공개된 정보 없음

글로벌

GS건설(주)는 주로 국내 사업에 집중하고 있어, 글로벌 연봉 정보는 제한적입니다.


재무지표 (2024년 기준)

  • 연 매출:8조 원
  • 영업이익:6,000억 원
  • 순이익:4,000억 원

주요 사업별 매출:

  • 건축: 약 4조 원 (전체 매출의 50%)
  • 토목: 약 2조 원 (25%)
  • 플랜트 및 해외건설: 약 1.6조 원 (20%)
  • 환경 및 기타: 약 0.4조 원 (5%)

연구개발(R&D) 투자:

  • 연간 투자액: 약 300억 원
  • 투자 비율: 매출액 대비 약 0.4%
  • 주요 투자 분야: 스마트 건설 기술, 친환경 건축 솔루션, 신재생 에너지 인프라

부채 및 자산:

  • 총자산:6조 원
  • 총부채:2.4조 원
  • 부채비율:40% (재무적으로 안정적인 구조 유지)

주가 분석 (최근 5년간 변동)

📌 2020년: 팬데믹 영향 및 회복 기대

  • 주가 범위:20,000~30,000원
  • 이슈:
  • 코로나19 팬데믹(2020년 3월): 글로벌 경기 둔화로 건설업 전반적인 투자 위축
  • 정부 부양책: SOC(사회간접자본) 투자 확대 기대감 반영
  • 부동산 시장 회복 기대: 하반기부터 정부 규제 완화 논의
  • 추세:
  • 상반기 급락 후 하반기 점진적 상승

📌 2021년: 부동산 경기 호황 및 주가 급등

  • 주가 범위:30,000~45,000원
  • 이슈:
  • 부동산 경기 활황: 국내외 건설 시장 호조로 신규 수주 증가
  • 저금리 기조: 유동성 확대에 따른 건설업체 실적 기대 상승
  • 재건축·재개발 확대 기대: 정부의 규제 완화 움직임
  • 추세:
  • 45,000원 돌파하며 5년 내 최고가 기록

📌 2022년: 금리 인상 및 건설업 악재

  • 주가 범위:30,000~40,000원
  • 이슈:
  • 금리 인상 본격화: 미국 및 한국 기준금리 인상으로 건설업 투자 위축
  • 자재비 상승: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건설 원가 부담 증가
  • 부동산 대출 규제 강화: 부동산 시장 둔화 조짐
  • 추세:
  • 40,000원 이상 유지하다가 하반기부터 조정 시작

📌 2023년: 부동산 침체와 주가 급락

  • 주가 범위:15,000~25,000원
  • 이슈:
  • 부동산 경기 침체 본격화: 국내외 주택 시장 둔화로 신규 분양 감소
  • 유동성 위기 우려: 금리 상승에 따른 금융비용 부담 증가
  • 건설업계 수익성 악화: 원자재 가격 상승 지속
  • 추세:
  • 20,000원 아래로 급락하며 5년 내 최저점 경신

📌 2024년: 최저점 형성 후 반등 시도

  • 주가 범위:14,000~21,750원
  • 이슈:
  • 정부 부동산 규제 완화 검토: 건설 경기 회복 기대감
  • 인프라 투자 확대: SOC 및 재개발 사업 재추진
  • 건설업 구조조정 진행: 일부 기업들의 부실 사업 정리
  • 추세:
  • 14,000원 최저점 기록 후 반등 시도

📌 2025년(현재): 주가 안정화 및 향후 전망

  • 주가: 18,450원
  • 이슈:
  • 부동산 경기 반등 여부: 금리 동결 가능성 및 신규 사업 확대 기대
  • 배당수익률 1.63% 유지: 안정적인 배당 정책 유지
  • 기술적 반등 가능성: 18,000원대에서 지지 여부 확인
  • 추세:
  • 18,000원대에서 지지 여부 확인 후 추가 상승 가능성

📊 총평: GS건설 주가 5년간 흐름 및 주요 이슈

  • 2020년: 팬데믹 충격 후 회복 기대
  • 2021년: 부동산 경기 호황 및 주가 급등
  • 2022년: 금리 인상 및 건설업 악재 본격화
  • 2023년: 부동산 침체와 주가 급락
  • 2024년: 최저점 형성 후 반등 시도
  • 2025년: 18,000원대에서 지지 여부 확인 중

주식 정보

  • 총 발행 주식 수:120,000,000주
  • 주요 주주:
  • GS 그룹 (약 45%)
  • 국민연금공단 (약 20%)
  • 국내외 기관 투자자 (약 35%)

전망

  • 이익 전망:
    내수 및 해외 시장의 안정적 회복과 함께, 친환경 건설 및 스마트 건설 기술 투자 확대에 따른 안정적 성장 기대
  • 수익성 개선 요인:
  • 첨단 건설 기술 및 스마트 인프라 구축
  • 친환경 건설 솔루션 도입에 따른 비용 절감 및 경쟁력 강화
  • 공공 및 민간 인프라 투자 확대

중장기 전망 (2026년 이후):

  • 글로벌 인프라 투자 증가와 스마트시티, 친환경 건설 분야에서의 기술 우위 확보
  • 해외 프로젝트 수주 확대 및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 마련

단기 전망 (2025년):

  • 글로벌 경제 회복과 정부의 인프라 투자 활성화에 따른 단기 매출 증가
  • 기술 혁신 및 친환경 솔루션 성과에 따른 시장 신뢰 회복
  • 단기 변동성 존재하나, 안정적 지지 기반 마련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