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기업/대기업

동원산업(주)(Dongwon Industries Co., Ltd.)에 대한 모든것 [기업소개, 배경, 사업부문,점유율, 주가, 연봉,주식, 전망 등]

by ingazzang1 2025. 3. 4.

동원산업(주)


​소개

동원산업㈜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종합수산 및 해양사업 기업으로, 글로벌 수산물 공급망을 구축하며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1969년 설립되어 현재는 해양수산, 유통, 냉장물류 등으로 사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설립 배경

동원산업은 1969년 4월 16일, 식량자원의 보고인 바다를 개척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설립 후 지금까지 오대양을 누비며 대한민국의 수산사업을 선도하고 있으며, 다양한 수산물 가공식품으로 국민 식생활을 풍요롭게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


주요 사업

동원산업은 다음과 같은 핵심 사업 부문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해양수산부문: 태평양, 인도양 등 세계 곳곳의 바다를 누비며 직접 잡은 참치를 급속 동결하여 최상의 가치를 보존합니다. 일본, 미국, 유럽 등에 고품질 참치를 수출하고 있습니다. ​동원+
  • 유통부문: 동원산업의 유통본부는 참치횟감의 가공과 수산물 유통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그 품질과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동원의 선단에서 직접 잡은 참치를 현대식 위생 설비로 가공해 국내 유통은 물론, 일본을 비롯한 미국, 유럽 등에 수출함으로써 세계 고객으로부터 높은 신뢰를 받고 있습니다. ​동원
  • 냉장물류부문: 동원산업 냉장물류본부는 국내 냉동수산물의 허브인 감천항 부두에 위치한 부산냉장센터, 수도권에 인접한 이천냉장센터와 성남냉장센터를 운영하며, 국내 저온물류 최적의 입지에 위치하여 전국 저온물류망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냉장물류본부는 저온물류의 40년 이상의 노하우 및 전문인력과 국내 최고 수준의 장비를 보유하여, 저온물류의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동원

시장 점유율 (국내 및 글로벌)

  • 국내 시장 점유율: 동원산업은 국내 참치캔 시장에서 약 82.5%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업계 선두권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file.alphasquare.co.kr
  • 글로벌 시장 점유율: 동원산업은 글로벌 참치 어획량과 가공 부문에서 세계 1위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비즈니스포스트

경쟁 업체 및 점유율

동원산업의 주요 경쟁 업체와 시장 점유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조산업: 국내 수산업 및 식품 가공 분야에서 경쟁 관계에 있으며, 정확한 시장 점유율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 CJ제일제당: 식품 가공 및 유통 분야에서 경쟁하고 있으며, 특히 가공식품 부문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 오뚜기: 가공식품 및 즉석식품 분야에서 경쟁하며, 다양한 제품 라인업으로 시장에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1. 연봉 정보

  • 평균 연봉: 약 8,000만 원​
  • 신입사원 연봉: 약 4,500만 원​
  • 직급별 연봉:
  • 사원: 4,500만 원 ~ 5,500만 원​
  • 대리: 5,800만 원 ~ 7,000만 원​
  • 과장: 7,200만 원 ~ 8,500만 원​
  • 차장: 8,800만 원 ~ 10,000만 원​
  • 부장: 10,200만 원 ~ 12,000만 원​
  • 임원 평균 연봉: 공개된 정보 없음
  • 글로벌: 동원산업은 국내 중심으로 운영되며, 글로벌 연봉 정보는 제한적입니다.​

2. 재무지표 (2024년 기준)

  • 연 매출: 약 8조 9,486억 원​
  • 영업이익: 약 4,647억 원​Fnguide+1Fnguide+1
  • 순이익: 약 2,722억 원​
  • 주요 사업별 매출:
  • 수산업: 약 3조 5,000억 원 (전체 매출의 39%)​
  • 식품 가공: 약 2조 8,000억 원 (31%)​
  • 포장재: 약 1조 5,000억 원 (17%)​다음
  • 물류: 약 1조 1,000억 원 (13%)​
  • 연구개발(R&D) 투자:
  • 연간 R&D 투자액: 약 1,500억 원​줌 인베스트
  • 투자 비율: 매출액 대비 1.7%​Fnguide
  • 주요 투자 분야: 스마트 어업 기술 개발, 식품 가공 기술 혁신, 친환경 포장재 연구​다음
  • 부채 및 자산:
  • 총자산: 약 7조 6,000억 원​
  • 총부채: 약 3조 8,000억 원​
  • 부채비율: 50% (재무적으로 안정적인 구조 유지)​

3. 주가 분석 (최근 5년간 변동)

📌 2020년: 팬데믹 영향과 식품 산업 성장

  • 주가 범위:25,000~38,000원
  • 이슈:
  • 코로나19 팬데믹(2020년 3월): 외식 감소, 가정 내 식품 소비 증가
  • 수산물 및 가공식품 수요 증가: 캔 참치, 냉동식품 등 판매 증가
  • 물류 및 원자재 비용 부담: 팬데믹 초기 물류 비용 상승
  • 추세:
  • 하반기부터 소비 증가에 따른 상승세

📌 2021년: 식품 시장 호황 및 주가 상승

  • 주가 범위:30,000~50,000원
  • 이슈:
  • 가정 간편식(HMR) 및 비대면 소비 확산: 편의식품 시장 확대
  • 국제 수산물 가격 상승: 원가 부담 증가
  • 유통망 확장 및 해외시장 진출 확대: 글로벌 시장 성장
  • 추세:
  • 50,000원 근처까지 상승 후 박스권 형성

📌 2022년: 원자재 가격 부담과 변동성 확대

  • 주가 범위:35,000~48,000원
  • 이슈:
  • 원자재 및 물류 비용 상승: 해운비 증가와 수산물 원가 부담
  • 소비 둔화 가능성: 인플레이션에 따른 소비자 부담 증가
  • 배당 매력 부각: 안정적 배당 정책 유지
  • 추세:
  • 48,000원 근처에서 하락하며 변동성 확대

📌 2023년: 경기 둔화와 실적 압박

  • 주가 범위:30,000~45,000원
  • 이슈:
  • 소비 위축: 경기 둔화에 따른 가공식품 판매 감소
  • 환율 변동성 증가: 해외 수출 관련 수익성 변동
  • 사업 다각화 시도: 신사업 및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투자 확대
  • 추세:
  • 상반기 반등 후 하반기 35,000원 근처로 조정

📌 2024년: 주가 하락 후 반등 시도

  • 주가 범위:26,499~38,000원
  • 이슈:
  • 수산물 원가 안정화: 공급망 정상화로 원가 부담 감소
  • 소비 심리 회복: 경기 부양책 및 물가 안정 기대
  • 투자 확대: 가공식품 및 친환경 사업 투자 지속
  • 추세:
  • 26,500원 저점 기록 후 반등 시도

📌 2025년(현재): 저점 확인 및 반등 가능성 탐색

  • 주가: 35,350원
  • 이슈:
  • 주가수익률(PER) 24.79배: 적정 수준 유지
  • 배당수익률 3.11%: 안정적인 배당 정책 지속
  • 국제 수산물 가격 안정: 원가 부담 축소 전망
  • 추세:
  • 35,000원대 지지 여부 확인 후 추가 상승 가능성

📊 총평: 동원산업 주가 5년간 흐름 및 주요 이슈

  • 2020년: 팬데믹 특수로 가공식품 수요 증가
  • 2021년: 식품 시장 호황 및 해외 진출 확대
  • 2022년: 원자재 부담 증가와 변동성 확대
  • 2023년: 소비 위축과 실적 부담으로 주가 조정
  • 2024년: 최저점(26,500원) 기록 후 반등 시도
  • 2025년: 35,000원대 지지 여부 확인 중

4. 주식 정보

 

  • 총 발행 주식 수: 약 53,367,000주​
  • 주요 주주:
  • 김남정 부회장 외 특수관계인: 34,802,286주 (약 87.83%)​WiseReport+1Paxnet+1
  • 기타 주주: 4,821,798주 (약 12.17%)​
  • 시가총액: 약 13,908억 원​
  • 주가수익비율(PER): 약 8.33배​Fnguide+1Fnguide+1
  • 주가순자산비율(PBR): 약 0.56배​
  • 배당수익률: 약 2.85%​Fnguide
  • 주당순이익(EPS): 약 4,215원​
  • 주당순자산(BPS): 약 66,309원​WiseReport
  • 최근 주가 동향:
  • 2024년 12월 기준 최고가: 36,555원​Fnguide
  • 2024년 12월 기준 최저가: 26,643원​
  • 2025년 3월 4일 현재가: 35,100원​
  • 애널리스트 목표 주가: 약 46,920원​Fintel
  • 최저: 44,440원​
  • 최고: 46,200원​
  • 거래소: 한국거래소 (KRX)​Fintel+2Investing.com 한국+2Paxnet+2
  • 티커: 006040

5. 전망

  • 이익 전망: 글로벌 수산업 및 식품 가공 시장의 성장세에 따라 안정적 성장 기대​
  • 수익성 개선 요인:
  • 스마트 어업 기술 도입을 통한 생산 효율성 향상​
  • 프리미엄 식품 시장 진출로 인한 마진 확대​
  • 친환경 포장재 수요 증가로 인한 신규 매출원 확보​

✅ 중장기 전망 (2026년 이후)

  • 수산업 변화: 지속 가능한 어업 및 양식업 기술 도입으로 안정적 자원 확보 예상​
  • 신사업 확장: 대체 단백질 및 건강식품 분야로의 진출 계획​
  • 글로벌 경쟁력 강화: 해외 시장 확대 및 글로벌 브랜드 인지도 향상​

✅ 단기 전망 (2025년)

  • 매출 및 수익: 전년 대비 5% 이상의 성장 예상​
  • 주요 추진 과제:
  • 스마트 어업 기술 상용화 및 생산 효율성 제고​
  • 프리미엄 식품 라인업 강화 및 마케팅 확대​
  • 친환경 포장재 생산 능력 증대 및 시장 점유율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