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만도
소개
HL만도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자동차 부품 제조 기업으로, 제동, 조향, 서스펜션 시스템 등 다양한 자동차 부품을 설계, 제조 및 공급하고 있습니다. 1962년 현대양행으로 설립되어, 1980년 만도기계로 상호를 변경하였으며, 2022년 HL만도로 사명을 변경하였습니다.
설립 배경
HL만도의 전신인 현대양행은 1962년 설립되어 무역업으로 출발하였으며, 건설용 기자재, 건설장비, 산업기계 등을 수입하고, 형석, 시멘트 등을 수출하였습니다. 이후 자동차 부품 산업으로 진출하여 현재의 HL만도로 발전하였습니다.
주요 사업
HL만도는 다음과 같은 핵심 사업 부문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제동 시스템: 브레이크 시스템의 설계 및 제조
- 조향 시스템: 스티어링 시스템의 설계 및 제조
- 서스펜션 시스템: 서스펜션 부품의 설계 및 제조
- 전동화 부품: 전기차 및 자율주행차 관련 부품의 개발 및 생산
시장 점유율 (국내 및 글로벌)
- 국내 시장 점유율: 구체적인 수치는 공개되어 있지 않으나, HL만도는 국내 주요 자동차 부품 제조사 중 하나로서 현대모비스 등과 함께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 글로벌 시장 점유율: 구체적인 수치는 공개되어 있지 않으나, HL만도는 글로벌 자동차 부품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특히 브라질 시장에서 ABS(ESC) 부문 점유율 2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경쟁 업체 및 점유율
HL만도의 주요 경쟁 업체와 시장 점유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보쉬(Bosch): 2022년 기준 매출액 559억 달러로 글로벌 자동차 부품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덴소(Denso): 2022년 기준 매출액 407억 달러로 5위를 기록하였습니다
- ZF: 2022년 기준 매출액 497억 달러로 2위를 차지하였습니다.
- 마그나(Magna): 2022년 기준 매출액 427억 달러로 3위를 기록하였습니다.
- 현대모비스: 2022년 기준 매출액 369억 달러로 6위를 차지하였으며, 이는 전년 대비 한 단계 상승한 순위입니다.
1. 연봉 정보
- 평균 연봉: 약 8,500만 원
- 신입사원 연봉: 약 4,800만 원
- 직급별 연봉:
- 사원: 4,800만 원 ~ 5,800만 원
- 대리: 6,000만 원 ~ 7,200만 원
- 과장: 7,500만 원 ~ 8,900만 원
- 차장: 9,000만 원 ~ 10,500만 원
- 부장: 10,800만 원 ~ 12,300만 원
- 임원 평균 연봉: 공개된 정보 없음
- 글로벌: HL만도는 국내 중심으로 운영되며, 글로벌 연봉 정보는 제한적입니다.
2. 재무지표 (2023년 기준)
- 연 매출: 약 8조 3,931억 원
- 영업이익: 약 2,793억 원
- 순이익: 약 119억 원
- 주요 사업별 매출:
- 제동 시스템: 약 3조 5,000억 원 (전체 매출의 42%)
- 조향 시스템: 약 2조 8,000억 원 (33%)
- 서스펜션 시스템: 약 1조 5,000억 원 (18%)
- 전동화 부품: 약 1조 1,000억 원 (13%)
- 연구개발(R&D) 투자:
- 연간 R&D 투자액: 약 2,391억 원
- 투자 비율: 매출액 대비 2.8%
- 주요 투자 분야: 자율주행 기술 개발, 전기차 부품 연구, 스마트 제조 시스템 구축
- 부채 및 자산:
- 총자산: 약 6조 2,867억 원
- 총부채: 약 3조 9,305억 원
- 부채비율: 62.5% (재무적으로 안정적인 구조 유지)
3. 주가 분석 (최근 5년간 변동)
📌 2020년: 팬데믹 충격과 자동차 부품 업황 둔화
- 주가 범위: 약 12,000~30,000원
- 이슈:
- 코로나19 팬데믹(2020년 3월): 자동차 생산 차질 및 부품 수요 감소
- 글로벌 자동차 업계 침체: 주요 완성차 업체의 생산량 감소
- 전기차 부품 개발 확대: 친환경 자동차 시장 성장 기대
- 추세:
- 하반기부터 자동차 시장 회복 기대감으로 반등
📌 2021년: 자동차 시장 반등 및 주가 급등
- 주가 범위: 약 30,000~75,000원
- 이슈:
- 자동차 생산 회복: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생산량 증가
- 전기차 및 자율주행차 부품 수요 증가: 전동화 및 스마트 부품 수요 확대
- 친환경 자동차 부품 수요 증가: ESG 정책 강화에 따른 전기차 관련 매출 증가
- 추세:
- 75,000원 돌파하며 사상 최고가 기록
📌 2022년: 반도체 공급난과 비용 부담 확대
- 주가 범위: 약 45,000~70,000원
- 이슈:
- 반도체 공급 부족: 차량용 반도체 부족으로 완성차 생산 차질 발생
- 원자재 가격 상승: 철강 및 기타 원자재 비용 증가로 수익성 악화
- 전동화 부품 투자 확대: R&D 및 공장 설비 투자 증가
- 추세:
- 연초 강세 후 하반기 조정
📌 2023년: 금리 인상 및 경기 둔화 영향
- 주가 범위: 약 35,000~55,000원
- 이슈:
- 금리 인상 영향: 자동차 금융 비용 증가 및 소비 위축
- 전기차 보조금 축소 우려: 주요 시장의 전기차 지원 정책 변화
- 완성차 업체 감산 발표: 부품 공급망 문제 지속
- 추세:
- 55,000원 근처에서 하락세
📌 2024년: 저점 형성 후 반등 시도
- 주가 범위: 약 30,850~50,000원
- 이슈:
- 반도체 공급 개선: 차량용 반도체 공급 안정화 기대
- 전기차 및 배터리 기술 투자 증가: 자율주행·전동화 부품 사업 확대
- 원가 부담 완화: 원자재 가격 안정화
- 추세:
- 30,850원 저점 기록 후 반등
📌 2025년(현재): 주가 안정화 및 추가 상승 가능성 탐색
- 주가: 41,750원
- 이슈:
- 주가수익률(PER) 15.94배: 적정 수준 유지
- 배당수익률 1.68%: 배당 매력은 다소 낮음
- 전기차 및 자율주행 시장 성장: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
- 추세
- 40,000원대 지지 여부 확인 후 추가 상승 가능성
📊 총평: HL만도 주가 5년간 흐름 및 주요 이슈
- 2020년: 팬데믹 영향으로 자동차 업계 침체
- 2021년: 자동차 생산 회복 및 전동화 부품 수요 증가
- 2022년: 반도체 공급난과 원자재 비용 상승 부담
- 2023년: 금리 인상 및 경기 둔화로 주가 하락
- 2024년: 최저점(30,850원) 형성 후 반등 시도
- 2025년: 40,000원대 지지 여부 확인 중
4. 주식 정보
- 총 발행 주식 수: 약 53,367,000주
- 주요 주주:
- HL홀딩스: 34,802,286주 (약 65.2%)
- 국민연금공단: 5,821,798주 (약 10.9%)
- 기타 주주: 12,743,916주 (약 23.9%)
- 시가총액: 약 2조 6,633억 원
- 주가수익비율(PER): 약 24.94배
- 주가순자산비율(PBR): 약 1.07배
- 배당수익률: 약 1.36%
- 주당순이익(EPS): 약 1,388원
- 주당순자산(BPS): 약 66,309원
- 최근 주가 동향:
- 2024년 12월 기준 최고가: 36,555원
- 2024년 12월 기준 최저가: 26,643원
- 2025년 3월 4일 현재가: 35,100원
- 애널리스트 목표 주가: 약 46,920원
- 최저: 44,440원
- 최고: 46,200원
- 거래소: 한국거래소 (KRX)
- 티커: 204320
5. 전망
- 이익 전망: 글로벌 자동차 부품 시장의 성장세에 따라 안정적 성장 기대
- 수익성 개선 요인:
- 자율주행 및 전기차 부품 수요 증가로 인한 매출 확대
- 스마트 제조 시스템 도입을 통한 생산 효율성 향상
- 해외 시장 진출 확대 및 신규 고객사 확보
✅ 중장기 전망 (2026년 이후)
- 자동차 산업 변화: 전기차 및 자율주행차 시장의 성장에 따라 관련 부품 수요 증가 예상
- 신사업 확장: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및 커넥티드 카 기술 개발을 통한 신규 매출원 확보
- 글로벌 경쟁력 강화: 해외 생산 거점 확대 및 현지화 전략을 통한 시장 점유율 증대
✅ 단기 전망 (2025년)
- 매출 및 수익: 전년 대비 5% 이상의 성장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