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에너빌리티
소개
두산에너빌리티는 발전 설비, 원자력, 해상풍력, 담수 플랜트 등 다양한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중공업 기업입니다. 글로벌 에너지 산업의 변화에 대응하여 친환경 에너지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원전 및 신재생에너지 기술력 강화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설립배경
두산에너빌리티는 1962년 현대양행으로 설립되었으며, 1980년 한국중공업으로 공기업 전환 후 대한민국의 발전설비 핵심 기업으로 성장하였습니다. 2001년 두산그룹이 인수하며 두산중공업으로 사명을 변경하였고, 이후 2022년 두산에너빌리티로 다시 사명을 변경하여 친환경 에너지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주요사업
발전 설비
- 원자력, 화력, 복합화력, 수력, 해상풍력 등 다양한 발전 설비 설계, 제작, 설치 및 유지보수 수행
- 글로벌 발전 시장에서 원전 및 차세대 친환경 발전 기술 개발 중
- 원자력
- 국내 유일 원자로 제작 기업으로, APR1400 등 한국형 원자로 설비 제공
- 소형 모듈 원자로(SMR) 기술 개발을 통한 차세대 원전 사업 확대
- 해상풍력
- 한국형 해상풍력 터빈 개발 및 공
- 신재생 에너지원으로 해상풍력 시장 확대 중
- 담수 플랜트
- 해수 담수화 기술 개발을 통한 중동·아시아 시장 확대
- RO(역삼투압) 기반 담수화 설비 생산
- 주단조 및 첨단 소재
- 발전, 조선, 산업용 부품제
- 대형 단조 기술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
시장 점유율
국내 시장 점유율
- 원전 기자재 공급: 100% (국내 유일 원자로 제작사)
- 화력 발전설비 시장: 60% 이상
- 해상풍력 시장: 80% 이상 점유
글로벌 시장 점유율
- 원전 기자재 분야: 세계 5대 원전 설비 기업 중 하나
- 해상풍력: 글로벌 해상풍력 터빈 제조사 중 상위 10위 이내
- 발전소 EPC(설계·조달·시공) 시장: 전 세계 5위권
경쟁업체 및 점유율
경쟁업체주요 사업글로벌 점유율
GE Vernova (미국)
발전설비 및 원전
약 25%
Siemens Energy (독일)
터빈 및 신재생에너지
약 18%
Mitsubishi Heavy Industries (일본)
원전 및 발전 설비
약 15%
Vestas (덴마크)
해상풍력 터빈 제조
약 35%
두산에너빌리티 (한국)
원전 및 발전 설비
약 10%
연봉
국내 (두산에너빌리티 한국법인)
- 평균 연봉: 약 7,500만 원
- 신입사원 연봉: 약 4,800만 원
- 직급별 연봉
- 대리급: 약 5,800만
- 과장급: 약 7,000만
- 부장급: 약 1억 2,000만
- 임원 평균 연봉: 약 3억 원
글로벌
- 평균 연봉: 약 85,000달러 (약 1억 1,000만 원)
- 연봉 범위: 직무 및 지역에 따라 70,000~120,000달러
재무지표 (2024년 기준)
매출 및 수익
- 연 매출: 약 17조 5,899억 원
- 영업이익: 약 1조 4,673억 원
- 순이익: 약 5,175억 원
주요 제품별 매출
- 원전 및 발전 설비: 약 7조 원 (전체 매출의 약 40%)
- 해상풍력 및 신재생 에너지: 약 4조 원 (약 25%)
- 주단조 및 첨단소재: 약 2조 5,000억 원
- 담수 플랜트: 약 1조 2,000억 원
연구개발(R&D) 투자
- 연간 R&D 투자액: 약 1조 원
- 투자 비율: 매출의 5.7%
- 주요 투자 분야: 소형 모듈 원자로(SMR), 수소터빈, 해상풍력
부채 및 자산
- 총자산: 약 23조 9,000억 원
- 총부채: 약 14조 5,000억 원
- 부채비율: 약 127.28%
주가 분석
2020년
- 주가 범위: 12,000~18,000원
- 원전 사업 부진 및 실적 악화로 하락세
2021년
- 주가 범위: 15,000~25,000원
- 정부의 원전 정책 변화 및 해상풍력 시장 진출로 상승
2022년
- 주가 범위: 20,000~28,000원
- 친환경 에너지 투자 증가 및 해외 원전 수주 확대
2023년
- 주가 범위: 25,000~34,000원
- 소형 모듈 원자로(SMR) 개발 및 글로벌 시장 확장 기대감으로 상승
2024년 (현재)
- 주가 범위: 23,550원 (2024년 2월 기준)
- PER: 271.31배 (업계 평균 대비 높음)
- 12M PER: 33.17배
- 배당수익률: 현재 배당 없음
미래 전망 (2025~2027년)
- 매출 전망: 2025년 약 18조 5,000억 원, 2026년 20조 원 예상
- 영업이익 전망: 2025년 1조 8,000억 원, 2026년 2조 3,000억 원
- 신사업 확장: 소형 모듈 원자로(SMR) 및 해상풍력 터빈 대규모 수주 예상
- 해외 시장 진출: 미국, 유럽 원전 프로젝트 참여 증가
- 정부 정책 영향: 한국 및 글로벌 원전 정책 기조에 따른 지속 성장 가능
'한국기업 > 대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스퀘어(SkSquare)에 대한 모든것 (기업소개, 배경, 사업부문, 주가, 연봉, 전망 등 (0) | 2025.02.14 |
---|---|
크래프톤(krafton)에 대한 모든것 (기업소개, 배경, 사업부문, 주가, 연봉, 전망 등 (2) | 2025.02.14 |
한화오션(Hanwha Ocean)에 대한 모든것 (기업소개, 배경, 사업부문, 주가, 연봉, 전망 등) (0) | 2025.02.13 |
삼성물산(Samsung C&T Corporation) 에 대한 모든것 (기업소개, 배경, 사업부문, 주가, 연봉, 전망 등) (1) | 2025.02.13 |
알테오젠(Alteogen) 기업소개, 배경, 사업부문, 주가, 연봉, 전망 등 (0)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