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케이씨씨
소개
KCC㈜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건축자재, 도료, 실리콘 등을 생산하는 종합 화학 기업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설립 배경
KCC㈜는 1958년 금강스레트공업 주식회사로 설립되었으며, 1974년 고려화학을 세워 유기 도료 사업에 진출하였습니다. 이후 석고보드, 단열재, 유리, 창호 등 유기 및 무기 화학에 이르는 종합건축자재 기업으로 성장하였으며, 2005년 현재의 사명인 KCC㈜로 변경하였습니다.
주요 사업
KCC㈜는 다음과 같은 핵심 사업 부문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건축자재: 석고보드, 천장재, 단열재, 창호재 등 다양한 건축 내·외장재를 생산하여 건설 산업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도료: 건축용, 자동차용, 선박용, 플랜트용, 공업용 등 다양한 분야의 도료를 생산하며, 국내 최대의 도료 생산업체로서 품질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 실리콘 및 정밀화학: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신소재, 실리콘 등 정밀화학 소재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시장 점유율 (국내 및 글로벌)
- 국내 시장 점유율: KCC㈜는 건축자재 부문에서 약 58%, PVC 창호 부문에서 약 36%, 도료 부문에서 약 35%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며, 각 분야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글로벌 시장 점유율: KCC㈜는 세계 12개국 총 35개의 법인과 20개국 총 42개의 모멘티브 법인을 포함하여 생산 및 영업 네트워크를 보유한 글로벌 기업으로서, 특히 실리콘 분야에서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경쟁 업체 및 점유율
KCC㈜의 주요 경쟁 업체와 시장 점유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LX하우시스: 건축자재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으며, B2C 중심의 건자재 사업 확대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현대L&C: 재건축 및 리모델링 시장을 공략하며, 엔지니어드 스톤 생산라인 증설 등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이건창호: 고성능 창호와 유리를 공급하며,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외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습니다.
1. 연봉 정보
- 평균 연봉: 약 8,433만 원
- 신입사원 연봉: 약 5,030만 원
- 직급별 연봉:
- 사원: 5,030만 원 ~ 6,000만 원
- 대리: 6,200만 원 ~ 7,500만 원
- 과장: 7,800만 원 ~ 9,000만 원
- 차장: 9,200만 원 ~ 10,500만 원
- 부장: 10,800만 원 ~ 12,000만 원
- 임원 평균 연봉: 공개된 정보 없음
글로벌 연봉
KCC㈜는 국내 중심으로 운영되며, 글로벌 연봉 정보는 제한적입니다.
2. 재무지표 (2024년 기준)
- 연 매출: 약 6조 2,884억 원
- 영업이익: 약 3,125억 원
- 순이익: 약 2,113억 원
주요 사업별 매출
- 건자재: 약 2조 5,000억 원 (전체 매출의 39.8%)
- 도료: 약 1조 5,000억 원 (23.9%)
- 실리콘: 약 2조 2,000억 원 (35.0%)
- 기타 사업: 약 884억 원 (1.3%)
연구개발(R&D) 투자
- 연간 R&D 투자액: 약 1,200억 원
- 투자 비율: 매출액 대비 1.9%
- 주요 투자 분야: 친환경 건축자재 개발, 고성능 도료 연구, 실리콘 신소재 개발
부채 및 자산
- 총자산: 약 8조 5,000억 원
- 총부채: 약 3조 5,000억 원
- 부채비율: 약 41.2% (재무적으로 안정적인 구조 유지)
3. 주식 정보
- 총 발행 주식 수: 약 8,886,471주
- 주요 주주:
- 정몽진 회장: 약 2,500,000주 (약 28.1%)
- 국민연금공단: 약 1,200,000주 (약 13.5%)
- 기타 주주: 약 5,186,471주 (약 58.4%)
- 시가총액: 약 2조 4,260억 원
- 주가수익비율(PER): 약 9.55배
- 주가순자산비율(PBR): 약 0.43배
- 배당수익률: 약 2.93%
- 주당순이익(EPS): 약 23,931원FnGuide
- 주당순자산(BPS): 약 588,675원
최근 주가 동향
- 2024년 12월 기준 최고가: 337,500원
- 2024년 12월 기준 최저가: 201,000원
- 2025년 3월 14일 현재가: 약 236,000원
- 애널리스트 목표 주가: 약 373,333원
- 최저: 350,000원
- 최고: 400,000원
- 거래소: 한국거래소 (KRX)
- 티커: 002380
4. 전망
이익 전망
글로벌 건축자재 및 실리콘 시장의 성장세와 함께 안정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수익성 개선 요인
- 실리콘 사업 부문 성장: 모멘티브 인수로 인한 실리콘 사업 확대 및 수익성 향상
- 도료 부문 수요 증가: 조선업 및 자동차 산업 회복으로 인한 도료 수요 증가
- 건자재 부문 확대: 친환경 건축자재 수요 증가에 따른 매출 증대
✅ 중장기 전망 (2026년 이후)
- 글로벌 시장 확대: 해외 시장 진출 및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로 매출 성장 기대
- 신사업 개발: 친환경 및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을 통한 신규 시장 개척
- 디지털 전환: 스마트 공장 도입 및 디지털 마케팅 강화로 효율성 증대
5. 주가 분석 (최근 5년간 변동)
📌 2020년: 팬데믹 충격과 건자재 업황 침체
- 주가 범위: 약 100,000~200,000원
- 이슈: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건설·건자재 업황 부진
- 실리콘·유리·페인트 등 주요 제품 수요 위축
- 하반기부터 부동산 경기 회복 기대감으로 반등
- 추세:
- 100,000원대 저점 형성 후 상승세 전환
📌 2021년: 건설 경기 회복과 주가 급등
- 주가 범위: 약 150,000~450,000원
- 이슈:
- 글로벌 경기 회복과 함께 건설·인테리어 시장 활성화
- 미국 모멘티브 실리콘 사업 인수 효과 기대
- 사상 최고가(약 450,000원) 돌파
- 추세:
- 2021년 상반기 급등 후 하반기부터 조정
📌 2022년: 원자재 가격 상승과 조정 국면
- 주가 범위: 약 220,000~350,000원
- 이슈:
- 유가 및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생산 비용 증가
- 건설 경기 둔화 우려로 실적 압박
- 배당 및 장기 성장성 기대 지속
- 추세:
- 연중 350,000원 근처까지 반등 후 하락세
📌 2023년: 부동산 경기 둔화와 실적 부담
- 주가 범위: 약 230,000~310,000원
- 이슈:
- 국내외 부동산 경기 둔화로 건자재 업황 악화
- 원자재 부담 완화에도 수익성 회복 지연
- 배당 수익률(3.52%) 유지로 장기 투자자 관심
- 추세:
- 연중 300,000원대에서 등락을 반복하며 안정적 흐름
📌 2024년: 경기 회복 기대 속 변동성 지속
- 주가 범위: 약 216,500~345,000원
- 이슈:
- 부동산·건설 시장 회복 여부에 따른 실적 변동성
- 글로벌 실리콘·유리 사업 확장 지속
- 장기 투자 매력 유지(배당 수익률 3.52%)
- 추세:
- 345,000원 기록 후 조정 및 안정적 흐름 유지
📌 2025년(현재): 반등 시도 및 실적 개선 기대
- 주가: 284,000원
- 이슈:
- 글로벌 경기 회복 및 부동산 시장 반등 가능성
- 시가총액 2.53조 원, 주가수익비율(PER) 4.51 유지
- 배당 수익률 3.52%로 안정적인 투자 매력 제공
- 추세:
- 280,000원대에서 추가 상승 여부 확인
📊 총평: KCC 주가 5년간 흐름 및 주요 이슈
- 2020년: 팬데믹 충격과 건자재 업황 침체
- 2021년: 건설 경기 회복과 글로벌 확장으로 주가 급등
- 2022년: 원자재 부담 증가로 주가 조정
- 2023년: 부동산 경기 둔화로 실적 부담 확대
- 2024년: 실리콘·유리 사업 성장 기대 속 변동성 지속
- 2025년: 280,000원대 유지하며 반등 가능성 탐색